강연/튜토리얼
강연/튜토리얼

오상록 원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약 력
- 24.03. ~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 24.05. ~ 현재 국가기술수준평가 운영위원회 위원장
- 14.03. ~ 17.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장
- 11.04. ~ 14.12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 주력기간 전문위원장
- 11.01. ~ 11.12 한국로봇학회 회장
- 06.12. ~ 08.02 (구)정보통신부 IT정책자문관
발표제목
시대를 이끈 기술, 시대를 여는 연구: KIST의 역할과 위대한 도전
Abstract
한국의 과학기술은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며 국가 재건과 경제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시작된 산업화는 과학기술 인프라의 구축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있었다. 1966년, ‘과학입국’을 기치로 설립된 KIST는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 출연연구기관으로서 실용기술 개발을 통해 산업화를 견인했으며, 이후 고도성장기에는 국가 전략기술 확보와 기술 확산의 중추 역할을 해왔다.
2000년대 이후 KIST는 글로벌 기술 경쟁 심화와 복합적인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연구를 강화하고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주력하며 연구의 지평을 넓혀왔다. 최근에는 국가·사회적 난제 해결에 직접 기여하는 임무중심 R&D 체제로의 본격적인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임무중심연구소 출범, PM 제도 도입, 개방형 연구팀 구성 등 구조적 혁신을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와 맞물려, 대학과 출연연이 공동 연구팀을 구성하고 인력·장비를 상호 개방·공유하는 학-연 협력 모델 역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12년 설립된 고려대(KU)-KIST 융합대학원은 이러한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대학의 창의성과 출연연의 연구역량·인프라를 결합해 중장기 전략기술 확보와 전문 인재 양성을 동시에 실현하는 성공적인 협력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 KIST는 임무중심 연구를 통해 소득 3만불 정체를 돌파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초고령화 사회에서 국민의 건강 수명을 실질적으로 연장하며, 기후위기와 같은 글로벌 이슈에 과학기술로 대응하는 글로벌 일류 연구기관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다.

양승현 부사장/센터장
SK텔레콤 SK AI R&D센터장 겸
㈜코난테크놀로지 CTO

약 력
[학력 사항]- 서울대학교 대학원 자연언어처리 전공 (공학박사, 공학석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졸업 (공학사)
- 2022.12 ~ 현재 SK텔레콤 SK AI R&D센터장
- 1999.4 ~ 현재 ㈜코난테크놀로지 CTO
- 1997.10 ~ 1999.4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자연어처리연구부 선임연구원
발표제목
AI 기술과 산업 발전 방향
Abstract
오늘날 인공지능(AI)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본 기조강연에서는 산업적 관점에서 바라본 AI 기술의 주요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 생성형 AI, 자율지능 시스템, 로봇 AI 파운데이션(RFM) 등 최근 주목받는 기술 트렌드가 산업 현장에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특히 통신, 방송/미디어, 금융, 법률, 제조/물류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AI 기술이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낸 사례들을 중심으로, 기술의 진보가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확산 가능성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 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한 AI 기반 혁신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